학교 과학문화교육의 향상
(2006년) 과학관 육성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 연구
과학기술부 정책연구 2006-33
요 약 문
한국사회가 21세기형 지식기반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과학기술의 국가적 중요성은 크게 증대되었고, 과학관은 과학기술문화의 기반시설로서 국민의 과학교육을 담당하는 역할을 부여받았다. 과학관은 바람직한 과학기술문화를 정착․확산시킨다는 인식아래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문화 창달을 위해 과학관을 육성하려는 정부의 의지를 바탕으로, 과학관육성법에 따라 2003년에 시작한 제1차 과학관 육성사업(’03~’07)에 이어 제2차 사업(’08~’12)을 계획하기 위한 정책연구이다.
과학관은 ‘사이언스 코리아’, ‘과학문화도시’, ‘과학축전’ 등의 사업과 관련한 지역 거점으로서 그 역할이 중요해졌다. 앞으로 과학관은 학교에 버금가는 국가사회적인 공공기관으로 육성해야 한다. 학교교육 이전의 과학 경험, 학교 교육이 못하거나 안 하는 과학 활동, 그리고 학교 졸업 후의 모든 사람을 위한 광의의 과학문화 소양 향상 및 진로 안내 등 전 국민의 전주기적 과학 생애 교육의 중심 기관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선진국은 과학관을 인구수 10만 내지 20만 명 당 1개씩을 보유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인구수 80 여만 명 당 1개씩으로 선진국과 대비하여 볼 때, 추가적인 과학관 건립이 필요하다는 것은 제1차 과학관 육성사업이 시작할 때부터 언급되었다.
유무형의 문화재를 보관전시하는 박물관은 전국에 400여개 이상이 있으며 그 중에는 11개의 국립박물관이 건설 운영되고 있다. 또한 2002년 월드컵대회를 위해서는 한 경기장 당 약 2천억 원의 예산이 드는 월드컵경기장을 전국에 10개 건설하였음을 상기하면, 과학기술기반 사회를 대비하는 과학관에 대한 국가적 전략투자도 충분히 가능하며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과학관을 면밀히 조사분석하고, 국외 과학관 동향을 상세히 파악하며, 국가 과학문화 창달 의지의 바탕이 될 국립 공립 사립 과학관의 설립 촉진과 장기 중기 단기 운영 활성화를 위한 국가의 정책목표와 기본방향을 정립하고 그에 더하여 제2차(’08~’12) 육성사업의 구체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먼저 과학관의 개념과 분류 틀 및 기대역할을 검토하고, 국내외의 과학관정책에 대한 현황조사를 바탕으로 육성정책을 분석하며 미래의 과학관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과학관 조사 및 문제점 추출과 육성정책의 필요성 및 가능성을 탐색하고, 외국 과학관 조사 및 육성정책에 대한 심층적 조사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둘째, 국내외의 과학관 조사 분석을 바탕으로 과학관의 설립 촉진 및 운영 활성화를 위한 정책목표와 기본방향을 설정하였다. 이에 따른 항목으로 국립과학관에 대한 역할 정립과 운영 방안 및 권역별 특성에 맞는 국립과학관의 역할과 확충방안, 공립과학관의 내실화와 지역적 특성에 맞는 전문/테마 과학관 확충방안, 사립과학관에 대한 기능과 운영방안 및 기업, 단체, 개인의 지향에 맞으며 지역적 특성에 부합하는 과학관 건립과 내실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셋째, 과학관의 개념을 확장하여 연구기관, 산업체, 대학, 박물관, 명승지 등 기존의 많은 과학 관련 기관과 장소를 경제적이고 현명하게 연구 개발하여 “과학관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과학관화”를 통하여 누구나 여가 중에도 탐방하며 의미 있는 과학 활동을 하도록 여가문화를 새롭게 바꾸고 이를 통해 온 누리에 과학문화를 확산하는데 기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모든 과학관과 과학관화한 기관을 포함하여 사이버 과학관을 구축함으로써 국내외의 과학 탐방을 계속 동기화 하고 사후 과학 활동도 격려하는 체제를 확립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과학관 육성을 위해 “과학관연구교육원”의 설립과 ‘과학관협력망’ 형성을 제안하고 과학관 관련법 제정과 개정 검토 및 제도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과학관 육성을 위한 소요 재원의 투자계획 및 조달방안 등에 대하여 고찰하고 어림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좋은 과학관이 적으면 국민과 국가가 지원하여 많은 과학관이 건설될 수 있지만, 미흡한 과학관이 많으면 외면당하고 드디어는 폐쇄될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차 례
연구개요 /11
제1장 서언 /33
1.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33
1.2 연구의 목표와 과제 /35
1.3 연구의 방법과 한계 /36
제2장 과학관의 기대역할과 실태 개요 /39
2.1 과학관 역사 개요 /39
2.2 과학관의 개념과 분류 /45
2.3 과학관의 기대역할과 학교 과학교육 /49
2.4 국내․외의 과학관 실태 분석과 혁신과제 /52
제3장. 과학관 정책의 기본 방향과 장기 발전책 /72
3.1 국가의 과학기술 정책과 과학관의 위상 /72
3.2 과학관의 정책 목표와 기본방향 설정 /73
3.3 과학관 발전의 중장기 확충 계획과 추진 /77
3.4 과학관의 질적 향상을 위한 내실화 방안 /88
제4장. 과학관 제2차(’07~’12) 육성사업과 연차별 투자계획 /91
4.1 국립과학관의 내실화와 확충 /92
4.2 공립과학관의 건립 지원 /100
4.3 사립과학관의 등록과 지원 /110
4.4 “과학관화”와 사이버 과학관 구축 /113
4.5 과학관의 운영과 지원 체제 강화 /117
4.6 과학관 육성예산 제안/131
제5장 결어, 중요 현안 과제 및 제언 /132
참고 문헌과 전산 정보 /135
붙임 1. 국립과학관과 시․도 교육청 과학관 현황 /143
2. 박물관과 월드컵경기장 관련 사항 /172
3. 미국 스미소니언 연구원과 호주 국립과학기술관/175
4. 과학관 관련 법령 개정안과 협력망 구성/186
5. 전국 16개 시․도 별 과학관과 분류표/215
첨부
2007최종보고서(표지_목차).hwp
박승재, 신수현, 유준희, 윤성규, 전태일, 정인경, 박정혜, 김소정
|